언론보도
언론에 나온 IBK경제연구소 관련 내용입니다.
2019.08.20
가업승계 완료 기업 불과 3.5%···후계자들, 가업상속 포기 사례 많아
일본, 2025년 30% 폐업 예상···650만명 실직, GDP 210조 피해 추산
"사회적 비용 줄이기 위해서라도 은행이 지원·컨설팅 등 지원 확대해야"
44년간 산업용 고무를 제조·판매하던 A 기업은 가업승계가 어려워지면서 기업의 영속성이 불투명해졌다. 그러자 IBK기업은행은 사모투자부에서 자금을 투입해 이 회사 지분을 70% 사들였다. 이후 A사의 거래처였던 B사에 매각을 제안했고, 받아들여지면서 우량한 중소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게 됐고, 기존 임직원들도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화를 이끌었던 중소·중견기업의 고령화에 따라 가업 승계가 대두되자 은행권이 관련 상품을 잇따라 내놓는 등 틈새시장 공략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사회적비용을 축소하기 위해서라도 은행권의 참여 확대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IBK경제연구소의 '우리나라 가업승계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법인 9만7500개사의 CEO 평균 연령은 55세로 기업당 평균 업력이 15년이었다.
이 중 CEO가 창업자인 기업은 5만1256개사였으며 CEO연령이 60세 이상인 곳은 1만7021개사(33.2%)였다. 2세 가업승계를 앞두고 있는 잠재적 승계기업이 3곳 중 1곳 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업력 10년 이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10개사 중 4개사가 아직 승계방법을 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실제로 9만7500개 기업 중 승계가 완료된 기업은 3.5%(3426개사) 수준에 불과했다.
이 같은 결과가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후계자의 가업 승계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가업상속세 최대 세율이 약 60% 이르는데다 제조업 기반에서 ICT기반으로 산업이 재편되는 상황인데 가업을 이어받게 되면 후계자들이 사업을 확장하거나 사후 업종 변경을 할 때 제한되기 때문에 가업상속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CEO의 자녀들이 해외 유학 등을 다녀오면서 눈높이가 달라졌고, 후계자들도 본인이 하고 싶어하는 일을 하려는 추세라 가업 승계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같은 중소기업들이 시장에 매물로 나온다 하더라도 마땅한 인수자를 찾기가 어렵고, 막상 찾았다 하더라도 자금 조달 등의 문제 때문에 인수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어렵게 가업 승계를 결정했더라도 각종 세금이나 규제 등으로 인해 후계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그러자 은행권은 이들을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한 전략으로 가업승계를 컨설팅 해주는 상품을 연이어 내놨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 12월 1호 510억원, 올해 6월 2호 1230억원 규모의 전문 사모펀드(PEF)를 조성해 중소기업 지원에 나섰다. 이를 통해 8개 기업에 약 804억원을 투자했다.
대상기업의 경영권을 회사 내 경영진·임직원이 일부 인수(Management Buy Out, MBO)하는 구조 2건, 기존 경영진을 계속 유임하는 구조 4건, 전략적 투자자가 경영권을 인수하는 구조 1건, 전략적 투자자와 함께 경영권을 인수하는 구조 1건 등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 4월 계열사들과 함께 전담팀을 꾸려 유산정리, 가업승계, 기업매각 등을 포함한 토털 자문서비스를 제공하는 'KB 가업(家UP)자문 로열 골드 서비스'를 내놨다.
최근에는 'KB가업승계신탁' 상품을 출시하고 상속·증여·세무 등 상담서비스도 시작했다. 이 상품은 CEO가 보유한 주식을 은행에 신탁하고, 사후에 미리 지정한 승계자에게 상속하는 상품이다.
KEB하나은행도 지난 5월 '하나 100년 기업승계 서비스'를 출시하고 △가족간 자산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리빙 트러스트(Living Trust) 서비스' △중견·중소기업의 안정적인 후계자 승계를 지원하는 '기업승계 서비스' △기업상장(IPO), 매각·인수를 지원하는 '기업매각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신한은행은 지난 2009년 가업승계 컨설팅을 시작한 뒤 매년 50~60건의 컨설팅을 진행해왔다. 우리은행도 2001년 컨설팅 서비스를 시작해 맞춤형 컨설팅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은행권은 기업고객 유치와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고, 기업은 지속성장 등 영속성을 지킬 수 있어 윈-윈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지원이 필요한 기업은 소규모 사업장이라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고, 여차하면 자금이 묶일 수 있어 은행권에서 직접 뛰어드는 사례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은행권의 참여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한다.
기업의 업력이 오래될수록 경영성과는 크게 높아져 30년 이상 기업의 경우 10년 미만 기업의 4~5배 수준에 달한다. 그런데 가업승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우수 기업들이 문을 닫게 되고, 직원들의 일자리도 일순간에 사라지게 된다.
일본의 경우 2025년 중소기업 60%(245만개) CEO 연령이 70세에 도달하지만 후계자 부재로 30%(73만개사)가 폐업할 걸로 예상된다. 이 때 피해 규모는 650만명 실직, 국가총생산(GDP) 210조원 피해로 추산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업승계 실패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은행권이 이를 지원하는 금융상품이나 컨설팅 등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기훈 IBK경제연구소 중소기업팀 대리는 "금융기관이 원활한 세대교체로 기업의 재도약을 이끌 최적의 동반자"라며 "원활한 가업 승계를 위한 적극적인 컨설팅으로 최적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고, 세무·법률·PB 등 전문인력을 활용해 장기간 준비가 필요한 가업승계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